티스토리 뷰

 

2026년 최저임금안 시급 10,320원

2025년 대비 290원, 2.9% 인상

월 환산액, 2,156,880 (주 40시간, 월 209시간 기준)

 

 

 

2026년 최저시급은

전년(10,030원) 대비 290원 인상(2.9%)되었으며,

노사·공익위원 전원 합의로 마무리 되었는데요,

전원합의로 마무리된 것은 17년 만입니다.

 

 

최저임금의 역사와 의미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목차

1. 최저임금의 역사
- 최저임금제의 도입과 초기역사

2. 협상과정 에피소드

3. 최저임금 해외 비교

4. 적용시기 및 공식 고시 절차

 


1. 최저임금의 역사

 

1986년 최저임금법 제정(1988년 시행)으로

한국 최저임금제도는 공식 시작되었습니다

 

최초 시급은 제조업 기준 462.5원,

이후 매해 인상되며 제도가 정착해 나갔습니다.

 

 

 

 

최저임금 협상의 주요 역사 흐름

 

1988년: 최저임금제도 시행 (462원)

 

1990~2000년: 천 원대 진입 -> 2000년대 초 1,865원 (2000년 9월)

 

2008년: 3,770원 → 4,000원 시대 도달, 최저임금위원회 

 

2015년: 노동계 최초 1만 원 요구 제기 (2020년 목표)

 

2023년: 시급 9,620원

 

2024년: 시급 9,860원

 

2025년: 시급 1만 30원으로 첫 ‘1만 원 시대’ 돌입 

 

 

 

2026최저임금 10320원 심의촉진구간 공익위원 적용시기 2026최저임금 10320원 심의촉진구간 공익위원 적용시기 2026최저임금 10320원 심의촉진구간 공익위원 적용시기

2. 협상 과정 에피소드

 

2026년 최저시급 협상과정은 12번의 회의 끝에 

새벽에서야 협상이 성공하였습니다.

아래는 협상 진행 과정입니다.  

 

최초 제안과 수정안 교환

 

노동계는 초기안으로 1만 5,500원 제시하였고

이후 11,090원까지 수정했으며

 

경영계는 동결(10,030원)에서 출발해

10,180원까지 상향 제안하였습니다. 

 

 

 

공익위원의 '심의촉진구간'

 

심의촉진구간이 나오면 통상적으로 노사는

구간 내에서 수정안을 제시해야 합니다. 

 

 

공익위원들은 10,210원~10,440원 구간으로 인상하는

심의촉진구간을 제시하며 사회적 합의의 출발점을 제안하였죠. 

 

 

 

막판 협상 및 민주노총 이탈

 

9차 수정안 이후

노동계는 역대 정부 첫 해 인상률 중

최저 수준이라며 반발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민주노총 소속 위원 4명이

심의촉진구간 철회를 요구하며

항의 의사로 퇴장하였고

 

이후 한국노총 위원 5명과

공익·사용자위원이 합의 주도하여 결정되었습니다. 

 

합의로 결정된 것은 17년 만입니다. 

 

 

 

 

 

 

 

 

 

 

최저임금 인상률 추이

 

연도 최저임금(원) 상승률

 

2022년 9,160 +5.05%

2023년 9,620 +5.00%

2024년 9,860 +2.50%

2025년 10,030 +1.70%

2026년 10,320 +2.90%

 

2022,2023년 두 자릿수 급등 후 2024,2025년 둔화,

그리고 2026년에 다시 상승 국면에 진입하였습니다. 

 

 

 

심의촉진구간이란?

공익위원이 제시하는 '유도 범위'입니다. 

이 기준은 대개 최근 인상률 ±1~3% 수준,

이번엔 290원(2.9%) 인상을 중심으로 설정됩니다.

 

이를 통해 노사 간 격차를 좁히고

최종 합의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합니다. 

 

 

 

2026최저임금 10320원 심의촉진구간 공익위원 적용시기 2026최저임금 10320원 심의촉진구간 공익위원 적용시기

 

 

 

3. 최저임금 해외 비교

 

 

 

 

              국가            시급 (현지 기준)          월급 기준*           환율 (₩/USD)              시급 (KRW)                 월급 (₩)

1 룩셈부르크 3,214 € / 3,568 € 1,422 약 4,571,908 / 5,075,296
2 네덜란드 €14.83 1,422 약 21,093
3 호주 AU$24.10 AU$2,700 1,422 약 34,280 약 3,839,400
4 뉴질랜드 NZ$23.50 1,422 약 33,417
5 독일 €12.41 1,422 약 17,653
6 영국 £12.21 1,422 약 17,358
7 아일랜드 €14.22 1,422 약 20,236
8 벨기에 €2,181 1,422 약 3,100,000
9 프랑스 €11.65 1,422 약 16,570
10 캐나다 CA$17.30 1,422 약 24,613
11 미국 연방 US$7.25 1,422 약 10,311
12 워싱턴주 US$16.28 1,422 약 23,141
13 타이완 NT$190 NT$27,000 1,422 약 8,763 약 201,000
14 일본 ¥1,055 1,422 약 13,915
15 한국 10,030원 (고시) 2,084,090원 10,030 2,084,090
16 홍콩 HK$50 182.5 (HKD/USD) 약 6,830
17 싱가포르
18 말레이시아 MYR1,500 1,422 약 2,133
19 중국 CNY2,300 1,422 약 4,692
20 인도 INR500 1,422 약 9,240
21 인도네시아 IDR4,000,000 0.0000944 약 378
22 파키스탄 PKR32,000 0.00702 약 224
23 필리핀 PHP9,000 0.0262 약 1,000
24 베트남 ₫4,500,000 0.000060 약 270
25 나이지리아 ₦70,000 0.00190 약 133
26 우즈벡 UZS1,155,000 0.000087 약 100
27 우크라이나 UAH8,000 0.038 약 300
28 아르메니아 AMD75,000 0.00234 약 176
29 카자흐스탄 KZT85,000 0.00230 약 196
30 코스타리카 ₡ ~0.00178/USD ₡ ~726,000/월 약 1,295 약 943,000

 

 

 

2026최저임금 10320원 심의촉진구간 공익위원 적용시기 2026최저임금 10320원 심의촉진구간 공익위원 적용시기

 

 

 

4. 적용 시기 및 공식 고시 절차

7월 10일 합의 후,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안 제출 8월 5일 이내 고시되며,

2026년 1월 1일부터 효력 적용됩니다

 

 

근로자·기업·경제 전반의 영향

 

근로자 입장 월 환산액(209시간 기준):

2,156,880원 → 9만 6,600원 증가

약 290만 명의 저임금 근로자에게 직접적 소득 상승

 

 

중소기업·소상공인 노동계 요구 반영이 제한적이고

고용 감소·영업이익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도 여전합니다. 

 

하지만 내수·물가 영향 근로자 소득 증가로 인해

소비 확대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는데요,

 

함께 물가 압력 및 서비스 가격 상승도 일부 예상 됩니다. 

 

 

 

이해관계자 반응 정리

집단 입장 요약

 

노동계

민주노총은 “인상률 부족” 비판,

한국노총은 “최선 선택”이라 평가

 

경영계

제도적 안정성 확보됐다는 측면에서 환영,

정부 지원 필수 강조 공익위원 “합의 가능성 회복” 의의,

사회적 합의 구조 복원 평가

 

 

 

 

반응형